세종실록으로 읽는 왕실의학

<3> 중풍과 세종의 가족력

총제(摠制) 이춘생(李春生)이 중풍으로 목숨이 끊어졌다가 다시 살아나니, 상왕이 말하기를, “요사이 중풍병으로 갑자기 죽은 사람이 20여인이나 되니, 마땅히 응급 치료의 방문(方文)을 써서 대궐 안과 병조에 방(榜)을 붙이게 할 것이다.” 하였다.

- 『세종실록』 즉위년(1418) 11월 5일

세종이 즉위한 첫 겨울, 우군(右軍) 동지총제(同知摠制)였던 이춘생(李春生)(1) 이 중풍으로 사경을 헤매다 목숨을 건지는 일이 일어났다. 이춘생이 그와 같은 일을 겪자 당시 상왕이었던 태종은 근래 20여명이 중풍으로 갑자기 죽었음을 언급하며 그 대처법을 여러 곳에 글로 써 붙이게 한다.

중풍(中風)은 멀쩡하던 사람이 갑자기 의식을 잃거나 팔다리를 쓰지 못하는 증상이다. 그 병에 걸리면 마치 센 바람에 큰 나무가 쓰러지듯 한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조선 초기, 중앙군은 중·좌·우의 3군으로 편제되어 있었고, 각각의 군에는 도총제(都摠制)·총제(摠制)·동지총제(同知摠制)·첨총제(僉摠制) 등을 두었으며, 경력(經歷)·도사(都事) 이하의 행정직도 각각 설치되어 군별로 도총제부가 기능하는 형태를 갖추었다. 무관이었던 이춘생의 직책은 우군 동지총제로 지금으로 말하면 사단장이나 군단장에 해당한다. 평생 야전에서 생활한 건장한 장군으로 자신이 총애했던 신하인 그가 쓰러져 생사의 기로에 서자 태종은 충격이 클 수밖에 없었을 것이다.

그런데 태종이 중풍에 민감했던 것은 비단 그 이유 뿐만은 아니었다. 중풍은 그의 가족력이기도 하였다.

임금이 덕수궁(德壽宮)에 나아갔다. 태상왕(太上王)이 갑자기 풍질(風疾)을 얻었는데, 임금이 이때에 침구(針灸)의 잘못으로 몸을 움직이지 못하다가, 이 소식을 듣고 놀라고 두려워하여 곧 편복(便服)으로 대궐 동쪽 작은 문을 나와 말을 달려가니, 시위(侍衛)하는 자들이 모두 미치지 못하였다. 급히 양홍적(楊弘迪)을 순금사(巡禁司)에서 불러 시병(侍病)하게 하고, 입번 갑사(入番甲士)를 나누어 대궐 동쪽 작은 문을 지키게 하여 창졸(倉卒)히 문안(問安)할 때의 시위(侍衛)에 대비하였다.

- 『태종실록』 15권, 태종 8년(1408) 1월 19일 -

태종의 아버지로 불패의 무장이자 조선을 건국한 태조 이성계는 태종 8년 갑자기 풍질(風疾)에 걸려 쓰러지고 만다. 태조는 이때 매우 위험했던 것으로 보인다. 당시 침구의(鍼灸醫)의 잘못으로 몸을 거의 움직이지 못하던 태종이 그 소식을 듣고 말을 달려서 아버지가 머물고 있던 덕수궁을 찾았다. 어찌나 빨리 달렸던지 수행원인 시위들이 따라오지도 못했다는 위 기록에서 그 긴박함을 알 수 있다. 실제로 다음날 태조는 병이 매우 위독해 정종이 찾아와 눈물을 흘리고 울면서 돌아가기도 한다. 다행히 그 고비는 넘겼으나 뇌출혈 증상으로 병석에 누운 태조는 호전과 악화 속에 쓰러진 지 4개월 만인 5월 24일 승하한다. 이날 담(痰)이 성(盛)한 태조는 소합향원(蘇合香元)을 복용하고, 병환이 더욱 급해지자 태종이 달려가 급히 청심원(淸心元)을 올렸지만 삼키지 못하고 눈을 감고 만 것이다.

아버지 태조가 중풍이 원인이 되어 승하하였고, 형인 정종 또한 풍질로 고생하였으며(2) 태종 역시 풍질이 얻어 심한 통증을 앓기도 하였다.(3)

한의학에서는 중풍은 협의의 범주에서 뇌졸중(stroke)에 속하지만 본래 다른 신경계 질환이나 감염질환 등의 범주도 일부 포함하는 넓은 개념의 용어다. 한의학연구원과 대한중풍학회 중심으로 2014년에 발표한 ‘한국형 중풍변증 표준안’에는 임상지표에 따라 중풍을 화열증(火熱證), 기허증(氣虛證), 음허증(陰虛證), 습담증(濕痰證)의 네 가지로 구분하고 있다. 대개 두 가지 이상의 요소가 복합적으로 작용한다.

또한, 중풍은 병태에 따라 두 가지로 구분도 한다. 갑자기 쓰러져 의식장애와 함께 반신마비, 언어장애 등이 나타나는 중장부증(中臟腑證)과 큰 의식장애 없이 반신마비, 구안와사, 언어장애, 현훈, 두통 등이 보이는 중경락증(中經絡證)이다. 별안간 심각한 상태가 된 태조와 사경을 헤맨 이춘생은 중장부증으로 이해할 수 있다.

태조에 대한 처방은 화열을 내리는 약재가 포함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이와 관련하여 흥미로운 일화가 있는데 늦가을 태조가 포도가 먹고 싶다고 하자 세자와 여러 왕자가 널리 이를 구하고자 하여 경력(經歷) 김정준(金廷雋)이 산포도가 서리를 맞아 반쯤 익은 것을 한 상자를 가지고 와서 바치니 태조가 기뻐했다고 한다.(『태조실록』 15권, 태조 7년(1398년) 9월 1일) 그리고 이틀 후 한간(韓幹)이 또 포도(水精葡萄)를 구하여 와서 바쳤는데 임금이 매양 목이 마를 적에 한두 개를 맛보니, 병이 이로부터 회복되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태조는 평소 입 마름, 진액부족, 화열을 앓았을 것으로 보이는데 포도는 열 완화와 갈증 해소에 좋은 과일이다.

또한, 중풍은 당뇨, 고혈압, 고지혈증 등과 연관이 깊다. 당뇨로 오랜 기간 고생한 세종 역시 할아버지 태조, 큰아버지 정종처럼 풍 질환에 취약한 체질로 볼 수 있다.

중풍은 한의학적 응급조치로써 손가락과 발가락 끝인 십선혈(十宣穴)이나 십정혈(十井穴)을 사혈하고 백회, 합곡, 현종 등 중풍칠처혈(中風七處穴), 회양구침혈에 침과 뜸 치료를 진행한다. 그리고 약물로는 용뇌소합원(龍腦蘇合元), 우황청심환(牛黃淸心丸), 양격산화탕(凉隔散火湯), 청폐사간탕(淸肺瀉肝湯), 성향정기산(星香正氣散), 소속명탕(小續命湯) 등이 증상에 따라 가감하여 처방된다.

갑자기 쓰러져 의식을 잃고 눈이 뒤집히고 입이 삐뚤어지며 손과 발을 쓰지 못하게 된다. 이럴 때는 급히 엄지손톱으로 인중(人中)을 집어뜯고 조각자(?角刺) 가루를 코에 불어넣고는 즉시 두정(頭頂)의 머리털을 끌어 일으켜서 재채기가 나기를 기다려야 하는데 재채기가 나오면 치료가 가능하고, 재채기가 나지 않으면 치료가 불가능하다. 구금(口?)이 되었을 때는 오매육(烏梅肉)을 남성(南星)ㆍ세신(細辛) 가루에 섞어 자주 문질러주면 아구(牙口)가 저절로 열린다. À
  • print
SNS제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