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노란북스

이토록 굉장한 세계 - 저자. 에드 용/번역. 양병찬 -

책 표지

책소개

우리는 작고, 자연은 광대하고, 감각은 경이롭다
동물들의 감각에 대한 광범위하고 압도적인 서사

퓰리처상을 수상한 과학 저널리스트 에드 용은 인간의 오감이라는 한계 너머로 우리를 인도하여, 동물들의 경이로운 감각 세계를 펼쳐 보이는 이토록 굉장한 세계. 저자인 에드 용은 모든 유기체가 자신의 감각으로 접근할 수 있는 세계의 아주 작은 부분만을 인식한다는 점을 강조하며, 세상에는 인간에게 완전한 침묵처럼 여겨지는 것에서 소리를 듣고, 완전한 어둠처럼 보이는 것에서 색깔을 보는 동물들이 있다는 것을 알려준다.

저자는 동물들이 어떻게 우리와는 다른 방식으로 자신만의 세계를 감지하는지를 생생하게 그려냄으로써 그 불가능에 도전했다. 냄새와 맛, 통증과 열, 색깔, 촉각, 진동, 심지어 자기장과 전기장마저도 활용하는 동물들의 다양한 감각들에 깜짝 놀라게 될 것이다. 색감, 자기장, 열, 촉감, 통증 등 인간의 오감을 뛰어넘는 동물들이 가진 월등한 감각에 대해 세분화해 섬세하고 광범위한 서사를 펼침으로써 비로소 감각이 얼마나 경이로운지 알려준다.

이 과정을 통해 지구 전체를 이해하는 새로운 방식을 제시해주는 이토록 굉장한 세계. 퓰리처상에 빛나는 저자의 통찰력을 담은 이토록 굉장한 세계는 우리의 평범한 주변 환경을 다채로운 '감각의 정원'으로 변신시키는 마법의 책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책을 읽는 동안 다른 동물의 경험을 상상함으로써 인간이 알고 있는 세계가 얼마나 좁은 범위에 불과한지, 인간의 직관이 얼마나 쉽게 우리를 속일 수 있는지 깨닫게 된다. 동물의 지각 능력에 대한 소용돌이 같은 여행. 이 멋진 책은 인간의 상상력에 도전하고, 인간 너머의 세상을 보게 해줌으로써 살아 있는 세계에 대한 경이로움으로 가득 차게 한다.

책 속으로

P.35 1장 냄새와 맛: 예외 없이 모두가 느낄 수 있는 중에서

항상 직진하는 빛과 달리, 냄새는 확산되고 스며들고 넘치고 소용돌이친다. "핀이 새로운 공간에 코를 대고 킁킁거리는 것을 관찰할 때마다, 나는 나의 시각이 제공하는 명확한 경계를 무시하려고 노력해요. 대신 뚜렷한 경계가 없는 '희미하게 빛나는 환경'을 상상하곤 해요"라고 호로비츠는 말한다. "초점 영역이 존재하지만, 뭐랄까 모든 영역이 서로 스며든다고 할 수 있죠." 냄새는 어둠을 통과하고, 모퉁이를 돌고, 그 밖의 악조건(시야를 방해하는 조건)에서도 이동한다.

P.133 3장 색깔: 빨강, 초록, 파랑으로 표현할 수 없는 세계 중에서

삼색형 색각자와 사색형 색각자 사이에도 동일한 간극이 존재한다면, 우리는 새가 구별할 수 있는 수억 가지 색깔 중에서 겨우 1퍼센트만 볼 수 있을 것이다. 인간의 삼색형 색각을 삼각형으로 생각할 수 있는데, 여기서 세 모서리는 각각 빨간색, 초록색, 파란색의 원뿔세포를 나타낸다. 우리가 볼 수 있는 모든 색깔은 이 세 가지 색깔의 혼합물로, 삼각형 공간 내에 점으로 표시될 수 있다. 그에 비해 새의 사색형 색각은 피라미드(삼각뿔)로 생각할 수 있으며, 네 모서리는 네 개의 원뿔세포를 나타낸다. 여기서 우리의 전체 색깔 공간은 피라미드의 한 면에 불과하며, 피라미드의 넓은 내부는 대부분의 인간이 접근할 수 없는 색깔들을 나타낸다.

P.211 5장 열: 걱정 마세요, 춥지 않습니다 중에서

그러나 남극의 추위에 맞서는 황제펭귄에서부터 뜨거운 모래 위를 걷는 낙타에 이르기까지 극한 생물들을 볼 때, 우리는 그들이 평생 동안 고통받는다고 생각하기 쉽다. 우리는 그들의 생리적 회복력뿐만 아니라 심리적 꿋꿋함에도 감탄한다. 우리는 우리의 감각을 그들의 감각에 투사해, 우리가 불편하면 그들도 불편할 거라고 가정한다. 그러나 그들의 감각은 그들이 사는 온도에 맞춰져 있다. 낙타는 작열하는 태양 때문에 괴로워하지 않을 것이고, 펭귄은 남극의 폭풍 속에서 몸을 웅크리고 있는 것에 개의치 않을 것이다. 폭풍이 아무리 몰아쳐도 그들이 추위에 떠는 일은 없다.

P.319 8장 소리: 세상의 모든 귀를 찾아서 중에서

곤충의 귀에서 얻을 수 있는 첫 번째 교훈은 다음과 같다. '청각은 유용하지만, 촉각이나 통각과 달리 보편적으로 그런 건 아니다.' 어쨌든 최초의 곤충들은 귀가 먼 상태였다. 그들은 귀를 진화시켜야 했고, 4억 8000만 년의 역사를 통해 최소한 열아홉 번의 독립적인 경우와 상상할 수 있는 거의 모든 신체부위에서 그렇게 했다. 그리하여 귀는 귀뚜라미와 여치의 무릎, 메뚜기와 매미의 배, 매미의 입에 존재한다.

P.503 13장 감각풍경의 위기: 고요함을 되찾고 어둠을 보존하라 중에서

다른 동물의 환경세계에 발을 들여놓으며 그것을 이해하는 대신, 우리는 인위적인 자극으로 동물들을 괴롭히며 우리의 환경세계 안에 살도록 강요했다. 우리는 밤을 빛으로, 고요함을 소음으로, 토양과 물을 낯선 분자로 가득 채웠다. 우리는 동물들의 주의를 '실제로 감지해야 하는 대상'으로부터 분산시키고, 그들이 의존하는 신호를 익사시키고, 나방을 불길 속으로 유인하듯 그들을 감각 덫으로 유인했다.

원본 자료

위 내용의 원본 이미지(1)
위 내용의 원본 이미지(2)
위 내용의 원본 이미지(3)
퀴즈 이벤트 참여하기